본문 바로가기
음식이야기

무 심는 시기ㅣ심는 간격ㅣ재배방법ㅣ수확시기 완벽정리 🥕❄️

by 레시피왕 2025. 4. 10.
반응형

무는 한국 식탁에서 빠질 수 없는 만능 채소! 국, 김치, 나물, 장아찌까지 두루 쓰이며 영양도 풍부하고 키우기도 꽤 쉬운 뿌리채소예요. 이번 글에서는 무를 직접 키워보고 싶은 분들을 위해 파종부터 수확까지 자세히 정리해드릴게요! 🥬💪


1. 무 심는시기 🌱

무 심는 시기

 

무는 봄(3~4월)과 가을(8~9월)에 파종할 수 있어요. 단, 봄무는 온도 상승으로 꽃대가 올라올 위험이 있어 가을 파종이 가장 안정적이에요. 기온 15~20℃일 때 발아가 잘되며, 직파(씨 직접 뿌리기) 방식이 일반적입니다.


2. 심는 간격 📏

무는 뿌리가 크고 깊게 자라는 작물이기 때문에 포기 간격 20~30cm, 줄 간격 40~50cm로 넉넉히 심는 게 좋아요. 너무 촘촘하게 심으면 모양이 휘거나 작게 자라기 쉬워요.


3. 재배법 🌿

무 심는 시기

① 흙 고르기 🪴

심토가 깊고 부드러운 사양토가 이상적이에요. 퇴비, 유기질 비료, 석회를 밭에 고르게 섞고 파종 1~2주 전에 깊이 30cm 이상으로 갈아주세요.

② 햇빛과 위치 ☀️

햇빛을 매우 좋아하는 작물로, 하루 6시간 이상 햇빛이 필요한 채소예요. 그늘이 지면 뿌리가 작아지거나 웃자라요. 텃밭, 마당, 햇살 좋은 화단 추천!

③ 물주기 💧

발아기와 비대기(뿌리가 굵어질 때)엔 충분한 수분 공급이 필요해요. 겉흙이 마르지 않도록 관리하되, 과습은 피하고 장마철엔 배수 관리 철저히!

④ 비료주기 🌱

기비(밑거름)는 퇴비 + 복합비료를 넉넉히 주고, 생육 중기에는 웃거름으로 질소질 비료를 2~3번 나눠 줘요. 과비하면 줄기만 자라고 뿌리는 작아져요.

⑤ 솎아주기 ✂️

본잎 3~4장 나올 무렵 솎아주기를 해야 건강하고 튼튼한 무로 자라요. 솎은 어린잎은 무순 나물로 먹을 수 있어요! 😋


4. 수확시기 ✂️

파종 후 약 60~80일이면 수확 가능해요. 무의 윗부분이 지면 위로 올라오며, 손으로 만졌을 때 단단하면 수확 시기! 너무 늦으면 무가 딱딱해지고 맛이 떨어지므로 잎이 누렇게 변하기 전 수확하는 게 좋아요!


5. 주의사항 ⚠️

  • 과습 주의: 물 빠짐이 나쁘면 무름병, 뿌리썩음 발생! 💦
  • 해충 주의: 배추흰나비 유충, 무굴파리 피해 주의! 🐛
  • 밀식 금지: 좁게 심으면 웃자람, 뿌리 비대 불량 발생 ⚠️
  • 고온 스트레스: 봄무는 일찍 파종하면 꽃대가 올라와요. ☀️

6. 재배 요약표 📝

항목 내용
파종 시기 3~4월(봄) / 8~9월(가을)
심는 간격 포기 간격 20~30cm / 줄 간격 40~50cm
토양 조건 심토 깊은 사양토 / 퇴비 혼합
수확 시기 파종 후 60~80일
주의사항 과습·해충·밀식·고온 주의

7. 자주 묻는 질문 ❓

Q1. 화분에서도 재배할 수 있나요?

👉 가능하지만 깊이 30cm 이상 화분이 필요해요. 배수가 잘 되는 흙 + 넓은 화분이면 도전해볼 만해요!

Q2. 심고 꽃대가 올라왔어요. 왜 그런가요?

👉 봄에 너무 일찍 파종하거나 갑작스러운 기온변화가 있을 경우 꽃대가 올라오는 추대현상이 생겨요.

Q3. 잎만 자라고 뿌리는 작아요. 왜죠?

👉 비료 과다 또는 심는 간격 부족 때문이에요. 질소가 많거나 너무 촘촘히 심으면 줄기만 무성해져요!

Q4. 몇 개 정도 한 평에 심을 수 있나요?

👉 간격을 고려하면 약 60~80포기 심을 수 있어요. 텃밭 재배에도 딱 알맞은 채소예요!

Q5. 수확한 후 떻게 보관하나요?

👉 잎을 제거한 후 신문지에 싸서 냉장 보관하거나, 깍두기, 동치미 등으로 바로 활용해도 좋아요!


결론 ✨

무는 키우기 어렵지 않으면서도 활용도 높은 대표 채소예요. 텃밭, 마당, 심지어 넓은 화분에서도 충분히 키울 수 있고 수확의 보람도 크답니다! 지금이 바로 도전할 때! 무 키우기로 건강하고 시원한 밥상을 직접 만들어보세요! 🥕❄️

무 심는 시기


TOP

Designed by 티스토리